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미들웨어를 다루다보면 L4, L7 스위치라는 말을 많이 듣게되는데

OSI 7계층에서 4번째, 7번째 계층정보에따라 바꿔주는 스위치를 뜻한다.

 

 

1계층 - Physical Layer - 물리계층
전기적/기계적/기능적인 특성을 이용해서 통신 케이블로 데이터를 전송
비트 통신단위 사용, 전달/전송만 할 뿐 내용은 전혀 신경쓰지 않음
단지 데이터를 전기적인 신호로 변환해 주고받는 기능을 한다. (통신 케이블, 리피터, 허브 등)


2계층 - DataLink Layer - 데이터 링크 계층
물리계층으로 송수신되는 정보의 오류와 흐름을 관리 -> 안전한 정보의 전달을 수행할 수 있도록 도와줌
따라서 통신의 오류도 찾아주고 재전송도 한다. Point to Point로 신뢰성있는 전송
맥 주소를 가지고 통신. 전송되는 단위는 프레임. CRC(순환중복검사) 기반의 오류/흐름제어 -> 체크섬/패리티 등
(브릿지, 스위치 등)


3계층 - Network Layer - 네트워크 계층
가장 주요목적은 데이터를 목적지 까지 안전하고 빠르게 전달(라우팅)하는 기능
경로와 주소를 선택하고 패킷을 전달해준다. 노드를 거칠때마다 다양한 길이의 데이터를 네트워크를 통해 전달하고, 그 과정에서 전송계층이 요구하는 QoS(Quality of Service)를 제공하기 위한 기능/절차적 수단 제공
라우팅, 흐름제어, 세그멘테이션, 오류제어, 인터네트워킹 등 수행.
논리적인 구조(IP)를 가지며, 네트워크 관리자가 직접 주소를 할당하며 계층적임(hierarchical)
서브네트워크의 최상위 계층이며 NSDU(Network Service Data Unit) 교환 기능 제공
(라우터 등)


4계층 - Transport Layer - 전송 계층
TCP프로토콜 이용. 데이터 도착시 해당 데이터들을 합쳐서 5계층으로 전달. 
오류검출 및 제어, 복구 / 흐름제어 / 중복검사 / 패킷생성
이 계층 까지는 물리적인 계층에 속한다. (TCP/UDP 프로토콜 사용)
양 끝단(End to End)의 사용자들이 신뢰성있는 데이터를 주고받을 수 있도록 하여 상위 계층들이 데이터 전달의 유효성/효율성들을 고려하지 않아도 됨. 시퀀스 넘버 기반의 오류제어 방식 사용
연결 기반(Connection oriented)이다. 이는 전송 계층의 패킷들이 유효한지 확인하고 실패한 패킷들을 다시 전송하는 것을 뜻함. -> TCP


5계층 - Session Layer - 세션 계층
데이터가 통신하기 위한 논리적인 연결
세션 설정/유지/종료, 전송 중단시 복구 등의 기능
동시 송수신방식(Duplex), 반이중방식(half-Duplex), 전이중 방식(Full Duplex)의 통신방식과 체크 포인팅, 유휴, 종료, 다시 시작 등을 수행
TCP/IP 세션을 만들고 없앤다.


6계층 - Presentation Layer - 표현 계층
데이터 표현이 상이한 응용 프로세스의 독립성을 제공, 형식상 차이를 응용계층으로부터 덜어준다.
암호화, MIME인코딩 등
(ex. EBCDIC로 인코딩된 문서를 ASCII로 바꿔줌. 그 데이터가 text인지, jpg인지는 표현 계층이 처리)


7계층 - Application layer - 응용 계층
최종 목적지로 HTTP, FTP, SMTP 등 프로토콜이 있다.
해당 통신 패킷들은 방금 나열한 프로토콜에 의해 모두 처리됨. 이 프로토콜에 받아서 응용프로그램이 마지막 처리를 한다. -> 모든 통신의 양 끝단은 HTTP와 같은 프로토콜이지 응용프로그램이 아니다.
응용프로세스와 직접 관계하여 일반적인 업무를 진행
네트워크 소프트웨어의 UI부분, 사용자의 입출력(I/O) 부분 등

 

즉 L4는 IP라 L3이 아닌가 싶기도 하지만 TCP/IP 프로토콜을 보고 스위칭하기때문에 4계층이며

어플리케이션 이름(주소)으로 스위칭하는 L7 스위치는 7계층이다.

728x90
반응형

한걸음 한걸음

개인적인 기록